본문 바로가기

하이닉스3

2. HBM 테마 수혜주 정리 – 국내외 핵심 기업 분석 HBM, AI 시대의 핵심 메모리로 떠오르다 HBM(High Bandwidth Memory)은 기존 D램보다 수십 배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엔비디아 H100, B200 등 AI GPU에 필수적으로 장착되는 고성능 메모리입니다. AI 연산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HBM은 메모리 산업의 새로운 성장축이 되었고, 이를 둘러싼 국내외 수혜 기업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HBM 관련 밸류체인 중심으로 직접적인 공급 기업부터 장비/소재 기업까지 국내외 주요 수혜주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 HBM 직접 공급사 – SK하이닉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엔비디아 HBM3, HBM3E 독점 공급 (HBM 시장 점유율 1위) 삼성전자: HBM3E 양산 발표.. 2025. 5. 30.
5. AI 반도체 공급망의 지정학 – 미국, 중국, 한국의 전략 비교 AI는 기술 경쟁을 넘어 국가 간 패권 경쟁이 되었다 생성형 AI, LLM, AI 서버 등 첨단 기술의 발전은 단순한 산업 트렌드를 넘어 국가 안보, 경제력, 기술 자립의 문제로 번지고 있습니다. 특히 AI 반도체는 연산 능력과 직결되기 때문에 미국, 중국, 한국 모두 이 분야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치열한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미국 – 설계와 제재, 글로벌 연합 중심 전략 미국은 엔비디아, AMD, 인텔 등 설계 중심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TSMC, 삼성 등 글로벌 파운드리와의 협력을 통해 칩 생산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2022년 CHIPS & Science Act를 통해 국내 생산 유치와 동맹국 중심 공급망 형성을 추진하며 중국에 대한 반도체 기술 수출 제한 조치를 지속 강화하고.. 2025. 5. 28.
1. 왜 반도체는 인공지능 시대의 석유가 되었는가? AI가 세상을 바꾸는 시대, 그 핵심에는 반도체가 있다 2020년대 들어 인공지능(AI)은 산업과 일상 전반을 바꾸는 키워드가 되었습니다. 생성형 AI, 자율주행, 고성능 연산 서버까지 모든 혁신의 중심에는 '연산 능력', 즉 반도체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반도체는 AI 시대의 ‘석유’로 불릴 정도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계산하고, 전송하는 모든 과정의 기반이 됩니다. 한마디로 AI가 뇌라면, 반도체는 그 뇌를 움직이게 만드는 전기 + 에너지 + 인프라인 셈입니다. AI는 어떤 반도체를 필요로 하는가? AI가 단순한 알고리즘이 아닌, 실시간 분석과 생성, 예측까지 수행하려면 막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해야 합니다. 이를 가능케 하는 주요 반도체는 다음과 같습니다. GPU (그래픽처리.. 2025. 5.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