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11. 반도체 공정별 핵심 장비사 정리 및 기술 트렌드 총정리

by Pipeline1 2025. 5. 17.

공정별 핵심 장비사 요약 정리

공정 단계주요 장비사기술 포인트
노광ASMLEUV 독점, 미세공정 필수
식각Lam Research, TEL3nm 이하 건식 식각 최적화
증착Applied Materials, TELALD/CVD/PVD 등 박막 증착 기술
이온 주입Axcelis고에너지 도핑 정밀 제어
CMPEbara, TEL습식 연마, 저오차 평탄화
검사/계측KLA, Hitachi고감도 결함 검출, CD-SEM
패키징/테스트Teradyne, Advantest고속/저전력 테스트 및 환경 대응
최종 QATeradyne, Cohu신뢰성 테스트, 자동화 대응

반도체 장비 기술의 주요 트렌드 3가지

  • 초미세 공정 대응
    - 2nm 이하 노드 대응을 위한 EUV, GAA 대응 장비 수요 급증
    - ALD·Dry Etch·CD-SEM 장비의 기술적 정밀도 경쟁 치열
  • AI 및 고대역폭 칩 대응
    - 테스트 장비의 처리 속도, 열 특성 분석 강화 필요
    - 패키징 공정의 2.5D/3D 장비 진화
  • 공정 통합 자동화
    - 장비 간 연결성(Connectivity), 공정 간 실시간 피드백 시스템 확장
    - 소프트웨어 기반 품질 분석·예측 기능 탑재 확대

실무자 관점의 전략 포인트

장비 선정 시 공정 정밀도와 수율 개선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글로벌 점유율보다 내 공정 구조와 호환성, 유지보수 편의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ASML, Lam, KLA처럼 공정의 병목을 결정짓는 핵심 장비사와는
중장기 전략적 협업 관계를 맺는 것이 필요합니다.

총평 – 반도체 장비는 '공정의 품질'을 결정짓는다

우수한 장비 없이는
미세공정도, AI 반도체도, 고속 통신도 구현할 수 없습니다.

결국 반도체 산업의 본질은
정밀한 장비 + 안정된 공정 + 숙련된 인력의 삼박자가 맞아야
세계 최고 품질의 반도체가 나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시리즈가 여러분의 공정 이해와 장비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나 요청하실 주제가 있다면
댓글로 언제든지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