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산업의 안보 핵심, 소재 국산화
반도체 공급망이 단순한 경제 이슈를 넘어
‘국가 안보’와 ‘기술 독립’의 문제로 확대되면서,
소재 국산화는 한국 반도체 산업의 중장기 핵심 전략이 되었습니다.
특히 2019년 일본의 수출 규제 이후
불화수소, EUV 포토레지스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핵심 소재의 국산화 속도가 빨라졌고,
최근에는 HBM, EUV, 차세대 패키징 공정에서도
소재 기술의 국산화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1) 소재 국산화 수혜 기대 종목
2) 공정별로 주목할 국내 핵심 소재 기업
을 중심으로 투자 관점에서 정리해보겠습니다.
1. 포토 공정 – 동진쎄미켐, 서울반도체
- 동진쎄미켐: ArF·KrF·EUV용 포토레지스트 국산화 선도
- 서울반도체: 광원 기반 기술로 노광공정 소재 관련 간접 수혜
2. 식각/세정 공정 – 램테크놀러지, 솔브레인
- 램테크놀러지: 식각가스, 세정 소재 등 핵심 공급
- 솔브레인: 불화수소·세정액 등 포괄적인 소재 국산화 완성
3. 증착 공정 – 원익QnC, 케이엠
- 원익QnC: 쿼츠, 세라믹 부품 국산화로 CVD/ALD 대응
- 케이엠: 클린룸 소모품부터 증착소재 필터류 생산
4. 패키징/후공정 – 엘오티베큠, 덕산테코피아
- 엘오티베큠: 진공장비 부품 국산화
- 덕산테코피아: 언더필·몰딩소재 등 패키징 소재 공급
5. 기타 – 한솔케미칼, 이엔에프테크놀로지
- 한솔케미칼: 과산화수소·플라즈마 가스 등 다수 공정 대응
- 이엔에프: 반도체 전반에 걸친 소재 원천 기술 다수 보유
총평 – 소재 국산화, 단기 모멘텀을 넘어선 구조적 투자
이제 소재 국산화는 ‘테마주’가 아니라
실적과 기술력 기반의 성장 산업입니다.
고객사(삼성전자·하이닉스 등)의 선택을 받는 기업은
중장기 수혜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공정별로 기술력을 갖춘 국내 소재 기업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투자 타이밍을 포착해보세요.
이전 글 보기
1. AI 반도체 ETF 완전 비교 – SOXX, SMH, AIQ, 국내 ETF 차이 분석
'반도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파운드리 경쟁의 투자전략 – 삼성전자 vs TSMC 고객사 수혜주 (1) | 2025.05.31 |
---|---|
2. HBM 테마 수혜주 정리 – 국내외 핵심 기업 분석 (0) | 2025.05.30 |
1. AI 반도체 ETF 완전 비교 – SOXX, SMH, AIQ, 국내 ETF 차이 분석 (0) | 2025.05.29 |
5. AI 반도체 공급망의 지정학 – 미국, 중국, 한국의 전략 비교 (0) | 2025.05.28 |
4. 메모리 반도체의 재발견 – 단순 저장에서 연산 파트너로 (0) | 2025.05.27 |